한시간이나 샤워기에 머리를 적셔도 한조각의 기억이 지워지지 않는다. 필요없는건 지울래두 안지워지는데... 꼭 필요한건 가끔 까먹는단 말야. 게다가 가끔은 회사 엘리베이터 타면서, 지갑을 사원증 찍는 곳에 댄다. -_-; 난 사원증을 지갑에 안넣는데, 버스 탈때 찍는 것처럼... 엘리베이터 탈땐 딴생각 하지말자. 디게 뻘쭘하다. 파하하핫. ㄱ-
쩝.. 이런건 퍼오지 않을 수 없네... ^^; 좀전에 기억 한조각이 안지워진다구 투덜거렸는데, 정반대의 글을 올리게 될 줄이야... 김붕어씨 머리두 아니구... ㅡㅜ (김붕어씨는 금붕어씨. 김붕어가 뉘기야~? 하는 사람을 위해... 키키)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등 두뇌 활동을 돕는 건강식품을 꾸준히 섭취하면 건망증으로 인한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중요한 약속을 자주 잊어버리는 사람에게 제안하는 기억력 증진 생활법. 단어 하나로 공감각적인 상상을 펴라 불필요한 단어까지 무조건 외우기보다는 꼭 필요한 단어를 집중적으로 외우는 것이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위치를 기억할 때는 지도상의 위치를 생각하고 그림이나 표를 추상적으로 이미지화한다. 단어만 외우는 것보다 시각과 상상력을 통한 이미지..
브랜드 전문화가 마케팅 역전의 비결이다.브랜드 (Brand) 특정한 판매자의 제품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명칭, 기호, 디자인 등의 총칭. 언어로 구성되어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는 것을 브랜드 네임(Brand Name)이라 하고 소리 내어 읽을 수 없는 기호, 디자인, 레터링 등을 브랜드 마크(Brand Mark)라고 한다. 또 브랜드 네임, 브랜드 마크 가운데 그 배타적 사용이 법적으로 보증되어 있는 것은 상표(商標, 트레이드 마크)라고 한다.브랜드 전문화 (Brand Specialization) 제품 전문화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브랜드를 통하여 고객의 의식 속에 제품에 대한 우위 이미지를 경쟁사 제품과 뚜렷이 구별되게 각인함으로써 자기 제품만의 독자적인 이미지 영역을 만들어가는 전략. 따라서 ..
무의식을 자극하는 친근성이 장수하는 브랜드를 만든다. 소비자 선호도 (Customer's Preference Level of Brand) 경쟁 브랜드와의 관계에서 자사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가 얼마나 호감을 갖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 예전에는 직접 호(好),불호(不好)에 대한 측정을 하였으나 요즘은 브랜드를 왜 선호하고, 또 왜 선호하지 않는지, 나아가 향후 어떻게 하면 브랜드에 대한 구입을 고려하게 될지에 대한 것까지를 고려한 소비자 선호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브랜드 차별화 (Brand Differentiation) 자사 브랜드를 경쟁사 브랜드와 구별되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기업이 하는 모든 브랜드 관련 행위를 뜻한다. 브랜드 차별화는 브랜드 언어를 차별화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계부터, 광고를 통해..
특정 웹사이트의 접속자가 한꺼번에 폭증하는 현상을 뜻하는 '플래시 크라우드(flash crowd)'와 '스마트 몹(smart mob)'의 합성어이다.스마트 몹은 테크놀러지 분야의 권위자인 미국의 H.라인골드가 2002년 출간한 같은 제목의 저서 에서 처음 제시한 개념이다.2002년 10월에 발간된 하워드 라인골드의 저서 《참여군중(smartmob)》으로부터 탄생한 플래시몹이란 단어는 플래시클라우드(flashcrowd, 갑자기 접속자가 급증하는 현상)와 스마트몹(smartmob,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행동하는 집단)의 합성어다.이메일이나 휴대폰 연락을 통해 약속장소에 모여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황당한 행동을 한 뒤, 순식간에 흩어지는 불특정 다수의 군중.플래시몹은 ‘불특정 다수가 특정한 목적 없이 지령에 ..
[이글은 예전에 검색을 통해 찾은 것인데, 출처 링크를 할려니 찾지를 못하겠네요. 혹시 문제가 된다면, 글을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인터넷 마케팅은 과연 더 과학적일까? 조 희 창 I 미국 Cornell University 박사과정 hc71[at]cornell.edu요즘 인터넷에 관한 논의를 들어보면 모두 다 비관적이다. 한편으로는 책임론도 등장하고, 한편에서는 자성론도 있다. 모두 수긍이 가는 말이다. 그러나 돌이켜 보면 언뜻 이해가 안 되는 부분도 있다. 5, 6년 전 인터넷 사용자 5만 명도 안 되는 시점에서 미래에 대한 가능성만을 가지고 사업을 준비했던 시기와 비교하면 지금은 비록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훨씬 나을 수밖에 없는 시장 상황이다. 시장 규모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