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월1일 0시 조금 넘어서 네이버 메인이 개편되었다. 2004년 2월 이후로 야금야금 부분부분 튜닝은 했었지만 이렇게 크게 개편한 적은 없었다. 내 생각엔 이번의 개편의 목표는 검색으로의 더 큰 집중 (안밖으로 좋은 컨텐츠 선별하는 것에 굉장히 집중하니...), 포탈의 중립성 (뉴스 편집), 아웃링크(외부 링크), 단순화가 아닌가 싶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외부 간섭으로부터의 독립이 무엇보다 큰 의미인것 같기도 하다. 개편을 하게 되면 눈에 익지 않고, 이것저것 셋팅을 해야하는 불편함과 낯설음에 대한 불편함에 대한 클레임이 끊이 없이 몰려온다. 지금 오픈캐스트를 담당한 사람들은 어떤 심정일까? 아마 사용자들의 소리에 귀를 쫑끗 세우고 모니터링을 하고 있겠지? 불현듯 오래전 나도 겪었던 기억이 ..
올블로그를 간간히 달구고 있는 이슈. "네이버 검색 유입이 줄었어요!" 그동안 뜨문뜨문 들어오던 유입이 2주 정도였나? 폭발적으로 밀려들어와서는 급기야 레퍼러 1등으로 등극하더니만 8월초부터 급하강. 지금은 레퍼러가 거의 제로에 가깝네. 누군가에게 나의 허접스런 글을 보여줄려고 포스팅 하는 건 아니지만, 급작스럽게 레퍼러가 줄어든 것은 뭔가 문제가 있지 않나 싶어. 내부 서비스 콜렉션 강화도 좋지만 (물론 기계적인 콜렉션 운영이라고 하겠지만) 오히려 오픈을 했을때, 네이버 검색의 위력을 사람들이 더 실감할텐데... 아쉽다. 아쉬워.
한때는 컨텐츠를 찾아서 끄집어 올려서(Feature) 이슈화 시켜야하는 것이 중요한 키가 아닌가 생각을 했다. 문제는 한정된 리소스와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다양한 주제와 합당한 컨텐츠를 끄집어 낸다는 것에 대해 한계가 있다는 것을 느낀다. 적어도 어느 특정 공간이나 모든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툴이 있다면 훨씬 수월하겠지만... 끄집어 올려진 컨텐츠는 소외되기 쉽기도 하고, 지표를 이끌어 올려야 하는 담당자들은 참지 못하고 좀더 논쟁거리가 되는 것들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대체로 한국의 사용자들은 여백의 미가 충분한 웹페이지보다는 바글바글 와글와글 이미지가 넘치는 공간을 선호한다. (2005년에 자체 조사했던 결과에 따르면...) 게다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해서 찾는 것 보다는 관리자/운영자에 의해 노..
티스토리의 통계와 간만에 웹인사이드를 보면서 든 생각... 어느 순간부터 네이버 검색엔진을 통해서 굉장히 많이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구글, 다음 검색엔진을 능가해 버렸다. 와웅~ 최근 방문자는 100여명 안팍이지만, 봇들의 카운터를 막았기 때문에 예전에 비하면 실제 유입만 히트된다고 봤을때 장족의 발전이다. 딱히 정보성 블로그도 아닌데 말이징... 애드센스를 1년 정도 되었나? 붙여놔봐야 10달러도 못 벌었으니 말 다했지. ^^; 아마도 허접한 내 블로그조차 네이버의 검색엔진으로부터 유입이 늘었다는건 티스토리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 같은데 정말 네이버 검색엔진을 많이 쓰긴 쓰는구나. 아니 무서울 정도라고 할까? 대한민국 포탈이 포탈(Gateway)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린건 말도 안되는 3C니 4C니 하는 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