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기획한 한글날 Daum 로고 데코레이션 왠지 정말 한번 해보고 싶었다. 요즘은 딱히 이슈가 없잖아. 정치, 영화, 연예... 늘 보이는 것들뿐... 그래서 얘기했다. 꼭! 해보고 싶습니다! 이렇게 얘기한건 아니지만... ^^; 내 생각은 포탈 메인의 역할은 각 웹페이지(사이트)로의 통로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메시지를 전달하는 공간이라고 믿고 있거든. 그래서 메시지를 던지고 싶었다. 혹자들은 로고의 변화를 구글 따라쟁이로 치부하는 것을 종종 보기도 하는데, 사실 구글 웹마스터가 로고를 어떻게 꾸미던지 말던지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은 없다. 다음 로고를 꾸며서 메시지를 전달한건 적어도 3년은 넘었다. 그리고 내가 맡기 전부터도 이미 있었고. 누가 먼저니 베겼니의 대한 논쟁은 지극히 소모적이고 효율성 떨..
오랫동안 각 포탈을 비롯한 여러 사이트에서는 국경일이나 이슈가 있는 날이 있는 경우엔 그 회사의 로고나 혹은 로고 옆 공간을 이용해서 인터넷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하곤 한다. 이런 일들은 별것 아니게 보일지는 모르겠지만,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까먹고 먹어가기도 쉬운 일이기도 하다. IT쪽에 관심이 있는 분들중 일부는 구글의 로고에 대해서 극찬을 마다하지 않지만, 이미 이런 메세지 작업은 그 전부터 해왔었다. 주로 한국어권만을 대상으로하는 국내포탈보다는 세계적인 기업에서의 로고 데코레이션 작업이 눈에 띄긴 하겠지만 너무 극찬을 하는 것은 마치 사대주의 같은 느낌밖엔 들지 않는다. 몇달전 UI개발자 분이 모은 몇개의 Daum 로고들... "하자 하자~ 이번엔 이런 컨셉 어때? 저건 어때?" 하며, 아..
빡빡한 일정으로 진행된 녀석이 시작되었다. 캠페인의 주인공은 정확이 어떤 녀석이라고 부를 수 없는 전체일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일수도 있고, 해석에 따라 다를테지만 어쨋든 중요한 녀석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에는 이상하리만큼 떨리는 마음이 없다. 정말 숙련된 노하우나 경험 때문인지, 아니면 크리에이티브를 컨펌하는 곳이 다른 곳이라서 그런 것일지도... 이미 시작되었으니 많이 사랑 받았으면 하는 바램뿐이다. 어차피 적을 만들자고 하는 것들이 아니었으니... 사랑을 받은 만큼 돌려주지 않을까 싶다. 물론 내가 돌려주진 못하더라도...
최근 언론은 온통 로 난리다. 집 근처에 비어있는 건물은 온통 성인용 PC방이라는 이름으로 사행성 게임장들이 들어서는 것을 보고, 출퇴근할 때마다 미간이 찌부려졌다. 회사 근처에도 라는 곳이 있었는데, 처음엔 횟집인줄 알았다. -_-; 가까히 가서야 그냥 오락실인줄 알았는데, 얼마전 사촌동생 만나러 대구에 가서 를 보고 체인점이구나 하고 생각을 했었다. 갈수록 늘어가는, 최근엔 편의점보다 많다는 얘기도 있던데, 성인용 오락실을 보면서 언젠간 철퇴를 맞겠구나 생각은 했는데 그 철퇴가 지금 휘둘려지고 있다. 여기까진 좋았는데, 지난주 금요일에 SBS에서 헤드라인으로 뜬금없는 뉴스가 독점이라고 장식을 했다. 뉴스가 나올 당시 보진 못해서 느낌은 알수 없지만, 전화로 소식을 듣는 순간 화들짝 놀랬다. 집으로 오..
지난 6월10일 2006 독일 월드컵이 시작되었다.경기 시작전 긴장감으로 인해 시간이 어떻게 흘러갔는지도 모르겠다. 실제 작업은 내가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메신저로 물어보고 또 물어보고...중계센터 페이지가 열린 후 어떤 반응이 나올까? 행여나 문제는 없을까? 지속되는 긴장감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다.경기 시작후 10여분이 흘렀지만, 중계센터의 동영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겨우 동영상 아이콘이 보인 후 열심히 클릭을 했지만, 문제가 나타난다. 문제가 발생하자마자 바로 악플 폭풍이 몰아친다.다급하게 이것저것 노티하고 상황을 듣고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의논했다. Top 로고데코 긴급 교체...하지만, 누가 작업을 하지? 다행히도 디자이너가 로그인 중이어서 다급하게 요청.모든 문구 수정 작업에 들어갔다. 늦..
일단 공식적으로 모든 다른 국가들이 "나라" 라고 인정하는 나라수는 191개국이다. 이 191개국만이 유엔에서 투표권이 있다고 한다.그렇지만, 191개보단 더 많은 나라가 존재하고 있다.예를 들어, 대만, 체첸공화국, 동티모르 등 아직 나라라고 볼 수는 없지만, 올림픽이나 피파에서는 국가로 인정을 한다고 한다. 몇개의 나라에서 Daum을 이용하고 있을까? 2006년 4월까지 129개국이 이용하고 있다.어떻게 데이터를 뽑았냐구? Daum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인증절차를 거치게 된다. 국내는 대개 핸드폰, 유선 ARS를 통해서 받게 되는데, 해외 사용자들을 위해서 유선 ARS를 제공하고 있다. 물론 사용자는 공짜이다. Daum에서 전화요금을 부담하는 것이다. 이렇게 몇개의 나라에서 사용하는지 카운팅이 가능..